자폐 성향? 체계화지수(SQ) 이해하기

아이가 유난히 규칙에 집착하거나, 사람과의 감정적인 소통보다 숫자나 사물에 더 관심을 보일 때 ‘혹시 자폐 성향이 있는 건 아닐까?’ 하는 걱정이 생길 수 있습니다. 그럴 때 참고할 수 있는 지표 중 하나가 ‘체계화 지수(SQ)’ 입니다. 체계화 지수는 세상을 얼마나 논리적이고 체계적으로 바라 보는지를 나타내며, 자폐 스펙트럼과의 관련성도 연구되고 있습니다. 체계화 지수는 감정이 아닌 구조에 집중하는 뇌의 작동 방식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이 글에서는 체계화 지수의 정의와 아이의 성향을 이해하는 데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체계화지수(SQ)의 정의


체계화 지수(SQ, Systemizing Quotient)는 세상을 얼마나 논리적이고 체계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지를 측정하는 심리학적 지표입니다. 쉽게 말해, 규칙이나 패턴, 원리 같은 ‘구조’를 얼마나 잘 발견하고 이해하려는 성향을 나타냅니다.

이 지표는 영국의 심리학자 사이먼 배런코언(Simon Baron-Cohen)이 자폐 연구의 일환으로 개발했으며, 자폐 스펙트럼 특성과 관련된 인지적 경향을 이해하는 데 자주 활용됩니다.

체계화 성향이 높은 사람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일 수 있습니다:

  • 규칙과 시스템을 선호하고 잘 따름
  • 숫자, 기계, 도표, 분류 등에 흥미를 느낌
  • 반복적인 활동에 익숙함
  • 갑작스러운 변화나 예측 불가능한 상황에 스트레스를 받기 쉬움

이러한 성향은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를 가진 사람들에게서 상대적으로 더 뚜렷하게 나타날 수 있지만, 체계화 성향이 높다고 해서 반드시 자폐라는 뜻은 아닙니다. 단지 뇌가 정보를 처리하는 방식이 다를 수 있다는 하나의 단서를 보여주는 지표일 뿐입니다.

체계화지수(SQ) 테스트


최근 연구에 따르면 체계화 성향이 매우 높은 부모의 자녀에게서 자폐 특성이 나타날 확률이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Baron-Cohen의 E-S 이론과 극단 남성 뇌 가설) 하지만 대부분 상관 관계에 기반한 연구로 인과관계를 확정 짓지는 않습니다. 체계화지수 테스트를 통해 나와 자녀의 인지 스타일을 이해하고 교육 계획을 세우는 데 참고해 보세요.

체계화지수 테스트는 20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각 문항에 대해 ‘전혀 아니다’ 부터 ‘매우 그렇다’까지 선택할 수 있으며, 각 선택지는 점수화되어 총점을 기준으로 SQ유형이 나누어 집니다.

체계화지수와 자폐 스펙트럼과의 연관성

자폐스펙트럼(ASD : Autism Spectrum Disorder) 성향이 있는 사람은 일반인에 비해 평균적으로 SQ가 높고 EQ가 낮은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인지적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배런코어 교수는 ‘극단적 남성형 뇌(Extreme Male Brain)’ 이론을 제시하기도 했습니다. 이 이론은 자폐 성향을 단순 병리로 보는 대신, 인간 인지 발달의 스펙트럼 내에서 해석하려는 시도를 담고 있습니다. 물론 체계화지수는 자폐 진단 도구가 아니며, 성격이나 지능과도 다른 범주의 지표입니다. 그러므로 체계화지수는 자기 자신에 대한 인지적 경향을 파악하는 심리적 자기 이해 도구로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https://en.wikipedia.org/wiki/Simon_Baron-Cohen?utm_source=chatgpt.com

체계화지수(SQ)와 공감지수(EQ) : 서로 다른 두 축

배런코언 교수는 인간의 인지 스타일을 공감지수(EQ : Empathy Quotient)와 체계화지수(SQ)의 두 축으로 설명했습니다. EQ는 타인의 감정에 대한 민감도와 반응을 측정하는 척도이며, SQ는 구조화된 정보에 대한 인지 능력을 반영합니다. 연구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남성은 평균적으로 SQ가 더 높고, 여성은 EQ가 더 높은 경향을 보였습니다. 이러한 성향은 직업 선택이나 학문 분야의 관심 영역에서도 일정한 상관성을 보입니다. 예를 들어, 높은 SQ 성향은 공학, 수학, 데이터 분석 같은 분야에 적합하고, 높은 EQ 성향은 상담, 교육, 예술 등 감성적 직업군에서 강점을 보입니다. https://en.wikipedia.org/wiki/Empathy_quotient?utm_source=chatgpt.com

체계화지수를 통한 자기 이해

체계화지수는 개인의 시스템화 성향을 심리학적으로 평가하는 도구로 원래의 60문항 버전은 신뢰도가 높지만 일반 대중이 사용하기에는 다소 길다는 측면이 있습니다. 그래서 18문항 또는 8문항으로 구성된 단축형(SQ-Short, Brief SQ)도 개발되었습니다. SQ는 지능검사와는 무관하며, 개인의 인지 스타일이나 진로 탐색, 팀 구성, 교육 방식 설계 등에서 실용적인 방법을 제공합니다. 특정 분야의 적성을 가늠하거나, 자기 자신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도구입니다. 정답이 없는 이 테스트는 ‘높다’고 좋은 것도 아니고, ‘낮다’고 나쁜 것도 아닙니다. 당신의 사고 방식은 어디쯤에 있을까요? 자신의 체계화지수를 간단한 테스트로 확인해 보세요. ☞ [체계화지수 테스트 바로가기]


참고문헌

  1. Baron-Cohen, S., Richler, J., Bisarya, D., Gurunathan, N., & Wheelwright, S. (2003).
    The Systemizing Quotient: An investigation of adults with Asperger syndrome or high-functioning autism, and normal sex differences.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B: Biological Sciences, 358(1430), 361–374. https://pubmed.ncbi.nlm.nih.gov/12956536/
  2. Baron-Cohen, S. (2009). Empathizing, systemizing, and the extreme male brain theory of autism. Trends in Cognitive Sciences, 13(6), 248–253. https://doi.org/10.1016/j.tics.2009.06.001
  3. Greenberg, D. M., Warrier, V., Allison, C., & Baron-Cohen, S. (2018). Testing the Empathizing–Systemizing theory of sex differences and the Extreme Male Brain theory of autism in half a million people.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15(48), 12152–12157. https://www.pnas.org/content/115/48/12152
  4. Veale, J. F., & Williams, E. (2015).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a Brief Version of the Systemizing Quotient (SQ). Europ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ssessment.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81593963
  5. Autism Research Centre – University of Cambridge. Systemizing Quotient (SQ) Tests and Resources. https://www.autismresearchcentre.com/tests/systemizing-quotient-sq/

ADHD진단기준 ADHD치료방법 HSP HSP성향 HSP테스트 SQ테스트 감사일기 감정조절문제 강박원인 강박장애 강박장애원인 강박장애증상 강박치료 공황발작 공황장애 공황장애극복 공황장애원인 공황장애증상 기질검사 기질테스트 마음챙김 문단속확인강박 발표불안 불안장애 불안장애극복법 사회불안장애 성인ADHD 성인자폐 손씻기강박 스마트폰디톡스 스트레스자가진단 스트레스테스트 스트레스해소방법 심리치료 예민한사람 예민한성향 예민함테스트 인지행동치료 자기돌봄 자폐성향 자폐테스트 정신건강 체계화지수 체계화지수테스트 초민감자

더 보기: 자폐 성향? 체계화지수(SQ) 이해하기